본문 바로가기
약이되는음식과 건강정보

냉동보관 해서 먹으면 더 좋은 음식 7가지

by niceeffect 2024. 8. 4.
반응형

 

냉동보관은 음식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과일과 채소에 유용하며,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신선한 제철 음식을 바로 조리해해 먹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냉동보관을 통해  음식물 낭비를 줄이고 , 영양소 파괴를 줄일 수 있어. 생활비까지 절약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식재료 중에는 상온보다는 냉동실에 보관해야 더 좋은 식품을 알아볼게요

 

냉동보관식품

1. 두부

두부는 얼리면 좋아지는 가장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얼렸다 녹으면서 두부의  구멍을 통해 수분이 빠져나가고 단백질이 응축되어 단백질 함량이 무려 6배 증가합니다.

물기기 빠진 두부를 부침요리하면 겉면을 빠르게 바삭하게 만들 수 있어

식감이 좋아집니다.

또한  조림이나 찌개로 활용하면 간이 잘 배어들어 좋습니다.

2. 시금치

 

각종 비타민과 칼슘, 철분, 비타민k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 시금치는 얼리게 되면 칼슘과 비타민 E를 비롯한 영양소가 생 시금치보다 응축되며 오래 보관해도 맛의 차이가 없습니다.

 

3. 브로콜리

 

브로콜리는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서 먹기 좋은 크기로 조각낸 후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브로콜리를 얼리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영양소가 응축되어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의 섭취에 좋습니다

 

 

 

 

 

브로콜리

4. 팽이버섯

고기 구워 먹을 때 버섯 많이 드세요..😃

팽이버섯은 비타민 B1, 비타민 C, 항산화 작용 지방연소를 촉진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진

버섯키토산이 버섯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리놀산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예방합니다.

식이섬유는 장 운동을 촉진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를 개선시킵니다.

얼려서 요리하면 단단한 세포벽이 찢기면서, 좋은 성분이 쉽게 용출되어  많은 버섯키토산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5. 견과류


호두, 피칸, 땅콩 등이과 같은 견과류는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오래 놔두면 산패하여 냄새가 나고 맛도 변합니다.

따라서, 냉동 보관하면 ​오래도록 품질의 변화 없이 견과류 그대로의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수분과 다른 음식 냄새를 잘 흡수하기에  반드시 밀폐용기에 보관해야 합니다.

 

* 땅콩 곰팡이독소(아프라톡신) 위험성

 

6. 블루베리

타임지가  10대 ‘슈퍼푸드’로 선정할 만큼

항산화 성분이 많은 과일로 알려진 블루베리는

얼리면 항산화 효능이 더 진해지고 풍부해집니다.

2014년 미국 사우스다코타 주립대학교 식품학과 연구진은

신선한 블루베리를 냉동 보관할 경우,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의 농도가 더 증가된다고 발표했습니다.

 

7. 마늘

마늘


마늘은 미국 국립암연구소에서 꼽은 항암 음식 48가지 중 1위로 꼽는 

강력한 살균효과와 면역력을 가진 식품으로 

갈아서 냉동 보관해 두면, 성분의 변화 없이 오랫동안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마늘이 많이 생겼을 경우 반은 다지고, 

나머지는 슬라이스 해서 냉동에 넣습니다.  삼계탕 같은 것 할 땐 통마늘 꺼내 쓰고, 볶음 할 땐 편마늘.

국에는 다진 마늘 이런 식으로 용도에 따라 나눠서 사용하면 좋습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
그럼 주위에 보이는 광고 한번 클릭해주는 센스!! 😁😁   머.. 강요는 아니구요 ^^ 
감사합니다~~


 

▶▶  이 카테고리 인기글 ◀

 

 

소변이 잘 안나올때 좋은 음식

소변은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계기판과도 같습니다.그래서 한방이나 양방이나 건강 검진을 할 때는 소변의 상태를 먼저 보게 됩니다.자가 진단을 할 때는 우선 소변의 양이 많은

niceeffect.tistory.com

 

꿀과 같이 먹으면 약이되는 음식 (+독이되는 음식궁합)

[ 꿀과 같이 먹으면 좋은음식 ]꿀에는 플라보노이드, 페놀 화합물 등의 항산화 물질이 많습니다. 이 물질들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노화를 촉진시키는 부작용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면역력

niceeffec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