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의 마지막을 배웅하는 장례식장,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셨죠?
갑작스러운 부고 소식에 마음이 무거운 와중에도, 실수 없이 예의를 갖추고 싶다는 고민,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친구에게 조심스레 알려주듯, 쉽고 따뜻한 말로 안내해 드릴 테니 걱정 내려놓으셔도 괜찮아요.
│ 검은색 옷이 없을 때, 단정한 복장 선택법
장례식장에서는 어두운 계열의 옷이 기본이에요.
남성은 검은 정장에 흰 셔츠, 검은 넥타이가 가장 무난하지만, 꼭 검은색이 아니어도 진한 남색이나 회색처럼 눈에 띄지 않는 색상이라면 괜찮아요
여성은 블랙 원피스나 바지 정장이 좋고, 화려한 액세서리나 진한 화장은 피해주세요.
혹시 급하게 오느라 준비가 안 됐다면, 장례식장에서 대여해주는 정장을 입는 방법도 있어요.
│ 장례식장 입장부터 퇴장까지, 조문 순서
입구에 들어서면 조용히 움직여주세요.
먼저 조객록에 이름을 적고, 부의금을 준비했다면 조의금 함에 넣습니다.
상주와 마주치면 가볍게 목례로 인사를 나누고, 향을 피우거나 국화꽃을 헌화하며 고인께 예를 표합니다.
절이나 묵념을 한 뒤, 상주에게 짧은 위로의 말을 전하고 자리를 뜨면 돼요
조문이 끝난 뒤에는 유족에게 '힘내세요' 정도의 짧은 인사로 마음을 전하는 게 좋아요
│ 상주와 조문객에게 꼭 필요한 인사법
장례식장에서는 평소처럼 안녕하세요 같은 인사는 삼가고, 조용히 목례만 해도 충분해요
상주에게는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위로의 말씀 드립니다'처럼 짧고 정중한 말을 건네면 됩니다
고인의 사망 원인이나 가족 근황을 묻는 건 실례가 될 수 있으니 조심해 주세요
│ 조의금 봉투, 이렇게 쓰면 헷갈릴 일 없어요
조의금 봉투 앞면에는 부의, 근조, 추도 중 하나를 적고, 뒷면에는 왼쪽 아래에 본인 이름, 소속이 있다면 오른쪽에 적어주세요
금액은 굳이 쓰지 않아도 되고, 봉투 입구는 풀이나 테이프로 붙이지 않는 게 예의랍니다.
장례식장 입구에 비치된 봉투를 사용해도 괜찮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 장례식장에서 꼭 피해야 할 행동들
슬픈 자리지만, 오랜만에 만난 친지와 큰 소리로 웃거나 수다 떠는 건 삼가야 해요
휴대전화는 진동으로 바꾸고, 통화가 필요하다면 꼭 조용한 곳에서 해주세요
유족의 동의 없이 사진을 찍거나, 고인의 사망 원인 등 민감한 질문을 하는 것도 예의에 어긋납니다
│ 조문 절차, 손 모양부터 절하는 방법까지
절을 할 때 남성은 오른손이 위로, 여성은 왼손이 위로 오도록 손을 포개고, 무릎을 꿇어 깊이 숙여 절합니다
분향할 때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불을 붙이고, 왼손으로 받쳐 공손하게 향로에 꽂아주세요
헌화는 꽃 줄기를 오른손으로 잡고 왼손으로 받쳐 올리면 됩니다
│ 장례식장 떠날 때 마지막 예의
조문을 마치고 나갈 땐, 유족에게 짧게 안타깝습니다 정도로 인사한 뒤 조용히 퇴장해 주세요
다른 조문객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차분하게 움직이는 것도 잊지 마시고요
│ 낯선 장례 용어들
부고는 사망 소식을 알리는 것, &발인은 고인을 마지막으로 보내는 절차를 말해요
처음 듣는 용어가 많아도 당황하지 말고, 장례식장 직원에게 조용히 물어봐 주세요
│ 진심이 담긴 애도의 마음이 가장 큰 예절
결국 장례식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고인과 유족을 향한 진심 어린 배려예요.
복장이나 행동 하나하나가 모두 애도의 표현이니, 부담 갖지 말고 마음을 담아 조문해 주세요
▶▶ 이 블로그 인기글
2025.02.22 - [정부 보조금] - 상속세 신고, 전문가 도움 없이도 가능! 핵심 정리 (feat. 직접 계산해보기)
상속세 신고, 전문가 도움 없이도 가능! 핵심 정리 (feat. 직접 계산해보기)
상속세 신고로 고민하고 계신가요?오늘은 제가 상속세 신고 방법과 주의점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함께 살펴보면서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해 봐요!🟦 | 상속세 신고, 언제까지 해야
niceeffect.tistory.com
2025.02.22 - [정부 보조금] - 2025년 상속세 공제한도 변경, 5분 만에 완벽 이해하기! (feat. 알짜 정보만 쏙쏙)
2025년 상속세 공제한도 변경, 5분 만에 완벽 이해하기! (feat. 알짜 정보만 쏙쏙)
안녕하세요! 상속세 때문에 골치 아픈 분들 많으시죠?특히 상속세 공제 한도 때문에 골머리 앓는 분들 많을 텐데요,제가 상속세 공제 한도에 대한 모든 것을 낱낱이 파헤쳐 드립니다.상속세 공
niceeffect.tistory.com
'유익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V컬러링 부업, 직접 해보니 후회만 남은 이유 5가지 (2) | 2025.06.17 |
---|---|
장례식장에서 자연스럽고 예의 바르게 절하는 법 (0) | 2025.05.11 |
운전면허증 갱신과 적성검사 준비물은? 온라인/오프라인 접수방법,준비물 (0) | 2025.03.06 |
윤대통령 석방 운동참여 1811-0191(광고아님) 황교안의 석방청원 전화 (0) | 2025.02.25 |
기름때 청소할때 뭘쓰지? 과탄산소다,워싱소다,베이킹소다 차이점 (0) | 2025.02.19 |